R&D 성과확산을 위한 「기술사업화 추진계획」 추진
페이지 정보
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14-03-14 04:24 조회4,877회 댓글0건첨부파일
-
140117議곌컙 [蹂대룄] R&D _깃낵_뺤궛___꾪븳 _뚭린_좎궗_낇솕 異붿쭊怨꾪쉷__異붿쭊.hwp (2.0M) 67회 다운로드 DATE : 2014-03-14 04:24:16
본문
미래부, 연구개발 성과확산을 위해 기술사업화 본격 추진한다.
4대 전략 및 10대 세부과제 추진을 위해
'14~'17년까지 R&D 사업화에 약 9,000억원 투자
□ 미래창조과학부(장관 최문기)는 과학기술 및 정보통신기술(ICT) 연구개발(R&D)이 성공적으로 사업화될 수 있도록 「R&D성과확산을 위한 기술사업화 추진계획」을 시행한다고 밝혔다.
o 동 계획은 R&D 성과가 창조경제를 꽃피울 수 있도록 △수요자 지향형 R&D 혁신, △기술사업화 역량 강화, △사업화 추진체계 개선, △네트워크 강화 등 4대 전략과 이를 실현하기 위한 10대 세부과제를 설정하였다.
□ 우선, 국가 R&D 결과물이 시장에서 보다 활발히 활용될 수 있도록 수요자 지향형 R&D로 혁신을 추진한다. 이를 위해 기술수요자의 요구를 반영하는 ① 개방형 R&D 기획체제로 전환하고, 개발되는 기술의 질적 향상을 위해 ② R&D평가?관리체계를 개선한다.
□ 또한, 그동안 상대적으로 정부지원이 적었던 국가 R&D 사업화 분야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③ 사업화 기술개발(R&BD)을 본격 추진하고 ④ R&D 성과 확산을 위한 홍보를 강화하는 동시에 ⑤ 기술거래를 촉진하는 사업화 플랫폼을 구축한다.
□ 한편, 기존에 소규모 단위로 개별적으로 추진되던 기술사업화 체계를 개선하여 R&D의 효과성을 높여나간다. 이를 위해 R&D 기술사업화를 위한 ⑥ 전문지원기관을 지정?육성하고, ⑦ 대학?출연(연)의 기술이전 전담조직의 사업화 역량을 확대하며 ⑧ 연구개발특구의 기술사업화 역할을 강화하기로 하였다.
□ 더불어, 미래부는 기술사업화를 보다 포괄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협력 네트워크를 마련한다. 이를 위해 ⑨ 타 부처 유관기관 간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, 현장에서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컨설팅 제공을 통해 ⑩ R&D성과의 글로벌 진출을 지원할 계획이다.
□ 미래부는 기술사업화 추진계획을 통해 2017년까지 R&D 사업화 투자를 전체 R&D 투자액 대비 (‘13년)1.7% → 4.0%까지 높이고, R&D 생산성을 (‘13년)2.4% → 4.0%(R&D 투자액 대비 기술료 수입액)로 제고하는 것을 목표로 4년간(‘14∼’17년) 8,981억원을 투자하기로 하였다.
o 이를 통해, 미래부는 향후 4년간 직접적인 투자로 생산유발 1.69조원, 부가가치 창출 0.95조원, 고용유발 2.46만명의 파급효과를 예상하고, 한편 추가적으로 총 9조원(연평균 2.27조원)의 GDP 향상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기대하였다.
□ 최문기 미래부 장관은 “민간과 공공이 보유한 R&D성과 중 사업화 환경이 조성되지 못해 사장되는 우수한 기술이 매우 많다”며, “일자리 창출 및 경제성장을 실질적으로 유인하기 위해 R&D 성과가 시장에 파급될 수 있도록 총력을 기울일 것”이라고 밝혔다.
문의 : 정보통신방송기술정책과 오상진 과장(02-2110-2840), 김새별 사무관(02-2110-2841)
연구성과실용화팀 김유식 팀장(02-2110-2365), 정연웅 사무관(02-2110-2366)
창조경제기반담당관 장보현 과장(02-2110-2080), 현영목 사무관(02-2110-2082)
4대 전략 및 10대 세부과제 추진을 위해
'14~'17년까지 R&D 사업화에 약 9,000억원 투자
□ 미래창조과학부(장관 최문기)는 과학기술 및 정보통신기술(ICT) 연구개발(R&D)이 성공적으로 사업화될 수 있도록 「R&D성과확산을 위한 기술사업화 추진계획」을 시행한다고 밝혔다.
o 동 계획은 R&D 성과가 창조경제를 꽃피울 수 있도록 △수요자 지향형 R&D 혁신, △기술사업화 역량 강화, △사업화 추진체계 개선, △네트워크 강화 등 4대 전략과 이를 실현하기 위한 10대 세부과제를 설정하였다.
□ 우선, 국가 R&D 결과물이 시장에서 보다 활발히 활용될 수 있도록 수요자 지향형 R&D로 혁신을 추진한다. 이를 위해 기술수요자의 요구를 반영하는 ① 개방형 R&D 기획체제로 전환하고, 개발되는 기술의 질적 향상을 위해 ② R&D평가?관리체계를 개선한다.
□ 또한, 그동안 상대적으로 정부지원이 적었던 국가 R&D 사업화 분야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③ 사업화 기술개발(R&BD)을 본격 추진하고 ④ R&D 성과 확산을 위한 홍보를 강화하는 동시에 ⑤ 기술거래를 촉진하는 사업화 플랫폼을 구축한다.
□ 한편, 기존에 소규모 단위로 개별적으로 추진되던 기술사업화 체계를 개선하여 R&D의 효과성을 높여나간다. 이를 위해 R&D 기술사업화를 위한 ⑥ 전문지원기관을 지정?육성하고, ⑦ 대학?출연(연)의 기술이전 전담조직의 사업화 역량을 확대하며 ⑧ 연구개발특구의 기술사업화 역할을 강화하기로 하였다.
□ 더불어, 미래부는 기술사업화를 보다 포괄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협력 네트워크를 마련한다. 이를 위해 ⑨ 타 부처 유관기관 간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, 현장에서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컨설팅 제공을 통해 ⑩ R&D성과의 글로벌 진출을 지원할 계획이다.
□ 미래부는 기술사업화 추진계획을 통해 2017년까지 R&D 사업화 투자를 전체 R&D 투자액 대비 (‘13년)1.7% → 4.0%까지 높이고, R&D 생산성을 (‘13년)2.4% → 4.0%(R&D 투자액 대비 기술료 수입액)로 제고하는 것을 목표로 4년간(‘14∼’17년) 8,981억원을 투자하기로 하였다.
o 이를 통해, 미래부는 향후 4년간 직접적인 투자로 생산유발 1.69조원, 부가가치 창출 0.95조원, 고용유발 2.46만명의 파급효과를 예상하고, 한편 추가적으로 총 9조원(연평균 2.27조원)의 GDP 향상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기대하였다.
□ 최문기 미래부 장관은 “민간과 공공이 보유한 R&D성과 중 사업화 환경이 조성되지 못해 사장되는 우수한 기술이 매우 많다”며, “일자리 창출 및 경제성장을 실질적으로 유인하기 위해 R&D 성과가 시장에 파급될 수 있도록 총력을 기울일 것”이라고 밝혔다.
문의 : 정보통신방송기술정책과 오상진 과장(02-2110-2840), 김새별 사무관(02-2110-2841)
연구성과실용화팀 김유식 팀장(02-2110-2365), 정연웅 사무관(02-2110-2366)
창조경제기반담당관 장보현 과장(02-2110-2080), 현영목 사무관(02-2110-2082)
2014.01.16 미래창조과학부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